
숙종 22년 10월 13일
윤지완, 안용복을 두고 외교적 셈법을 고민하다
[3-2]
📜 원문
領敦寧府事尹趾完則以爲, 安龍福, 私往他國, 猥說國之重事, 彼或認爲朝廷所使, 則事之可駭, 莫此爲甚…(이하 생략)
📝 번역
돈녕부사 윤지완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안용복은 조정의 허락 없이 사사로이 다른 나라에 건너가 국가의 중대한 사안을 이야기했습니다. 일본이 그를 조정의 사절로 오해하게 된다면, 이는 매우 심각한 외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죄로 따지면 마땅히 죽어야 합니다.
그러나 대마도는 조선을 속이며 오랫동안 에도 막부와의 통로를 독점해왔습니다. 조선이 다른 길을 알아버렸다는 사실만으로도 대마도는 불쾌하고 두려울 것입니다. 만약 안용복이 처형되면, 그 길이 영영 막혔다고 여겨 대마도가 기뻐할지도 모릅니다.
법대로라면 처벌은 맞지만, 외교적으로 보면 손해입니다. 법을 어길 순 없지만, 계산을 그르치는 것도 아쉽습니다.
조정의 방침이 이미 정해졌으니 다른 말을 할 수는 없지만, 대마도에 그 사실을 통보하고 왜관 바깥에서 효수하는 것은 오히려 조선 스스로 손해를 자초하는 일일 수 있습니다.”
🔍 해설: 조선 외교의 딜레마, 윤지완의 계산
윤지완의 발언은 단순한 처벌론을 넘어서 조선 외교의 현실적 고민을 드러냅니다.
그는 안용복의 행동을 명백한 월권으로 규정하고 엄벌을 주장하면서도, 대마도의 외교 독점 구조를 꿰뚫어보는 통찰을 보여줍니다.
과거 조선은 대마도를 통해서만 일본 본토와 통교할 수 있었지만, 안용복이 직접 백기주(伯耆州)까지 건너간 사건은 기존 질서를 흔드는 외교적 사건이 되었습니다.
윤지완은 대마도가 이 사실을 알고 당황할 것이며, 안용복이 처형된다면 오히려 기뻐할 것이라 예측합니다.
이는 곧 “법은 지키되, 외교적 실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메시지로 읽힙니다.
윤지완은 결론적으로, 법을 세우기 위한 처벌은 불가피하지만, 그것을 외부에 보여주면서 왜인의 마음을 통쾌하게 해주는 모양새는 피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발언은 조선 조정이 처한 외교적 딜레마—법과 원칙 vs. 전략과 실익—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장면에서, 단지 안용복이라는 개인의 행동을 넘어서, 국가적 이익을 둘러싼 복잡한 셈법과 계산이 함께 작동하고 있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독도는 우리 땅 >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14] 숙종 22년 10월 13일(1696년) 안용복이 폭로한 대마도의 민낯 (3) | 2025.05.24 |
---|---|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13] 숙종 22년 10월 13일(1696년) - 안용복 1차 도일, 재평가대에 오르다 (5) | 2025.05.24 |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11] 숙종 22년 10월 13일 (1696년) - 안용복 사건, 본격적인 논의의 막이 오르다 (4) | 2025.05.24 |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10] 개인을 넘어, 국가 차원의 대응 준비 – 가장 현실적이었던 이조참의 김진구 (10) | 2025.05.15 |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9] 조선, 일본에 국서를 보내기로 결의하다 – 외교적 침묵을 깨는 순간 (19)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