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변사 3

[조선왕조실록속 안용복 #19] [7] 숙종 22년 9월 27일 | “안용복, 죄인이었을까? 영웅이었을까?” – 조선 조정의 고민과 외교의 기로

[7] 숙종 22년 9월 27일 (1696년) | 안용복, 죄인이었을까? 영웅이었을까?” – 조선 조정의 고민과 외교의 기로부제: 민간 외교와 외교 원칙 사이에서 조선이 내린 판단은?📜 원문庚辰/引見大臣、備局諸臣。 領議政柳尙運曰: "安龍福不畏法禁, 生事他國, 罪不可容貸。 且彼國解送漂海人, 必自對馬島, 例也, 而直自其處出送, 不可不以此明白言及, 而龍福姑待渡海譯官還來後, 置斷宜矣。" 左議政尹趾善亦以爲然。 刑曹判書金鎭龜曰: "臣以領相之言, 往問右議政徐文重, 以爲: ‘此事所關不輕。 自古交隣之事, 初似微細, 末或至大。 對馬島若聞龍福之事, 必憾怒我國。 宜先通報, 而囚龍福等, 以待彼中消息, 然後論斷。’ 判府事申翼相以爲: ‘通告對馬島, 似不可已, 而聽其所言後處置, 有同稟令, 一邊通告, 一邊處斷, 似當。’ 云矣。"📚..

[조선왕조실록 속 안용복 #15] [5] 숙종 22년 9월 22일| 안용복이 동래에서 국경지역의 정세에 관계되는 일로 잡혀오다

[5] 숙종 22년(1696년) 9월 22일안용복이 동래에서 국경에 관계되는 일로 잡혀오다📜 원문 발췌時, 安龍福自東萊拿來, 命備局堂上、刑曹堂上各一員, 齊會備局, 究覈稟處。 以其事關邊情也。📚 번역이때 안용복이 동래에서 압송되어 오자, 임금은 비변사(備邊司)의 당상관과 형조(刑曹)의 당상관 각 한 명씩을 비변사에 함께 모이도록 명하고, 철저히 조사하여 처리 방안을 아뢰게 하였다. 이는 이 사건이 국경 지역의 정세(邊情)와 관련된 사안이었기 때문이다.🔍 해설: 안용복 사건을 ‘국경 정세(邊情)’로 규정한 조선 조정의 대응1696년(숙종 22년) 9월 22일, 안용복이 동래에서 도성으로 압송되자 조선 조정은 그 사건을 단순한 형사 사안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실록 기사는 이 사건이 ‘변방의 정세(邊情)’에..

[승정원일기 속 안용복 #3] [2-6] ~ [2-10] 안용복을 어찌할 것인가, 조선 조정의 갈등

※ 본 시리즈는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안용복 선생님의 역사적 행적을 중심으로 구성된 콘텐츠입니다.중요한 문헌인 만큼 전문(全文)을 빠짐없이 소개하되, 긴 내용을 보다 쉽게 읽으실 수 있도록 의미 단위로 나누어 번역하여 연재하고자 하니 양해 부탁드립니다.[1696년 9월 27일 (숙종 22년) 2부][원문 및 번역]6. 上曰, 諸臣所見, 何如?→ 임금이 말씀하시기를, “여러 신하들의 의견은 어떠한가?”7. 左議政尹趾善曰, 安龍福罪犯, 更無容貸之事, 不必久囚, 而領相所達, 誠然, 依此爲之, 似好矣。→ 좌의정 윤지선이 말하기를, “안용복의 죄는 더 이상 용서할 수 없는 일입니다. 오래 가둘 필요도 없으며, 영의정이 보고한 대로 처리하는 것이 마땅해 보입니다.”8. 柳尙運曰, 昨日, 使刑曹判書金鎭龜, 往問於不..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