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고전과 지혜/채근담

《채근담(菜根譚) 원문 전집(前集) #17》 [017]

CurioCrateWitch 2025. 6. 20. 23:18
반응형

《채근담(菜根譚) 원문 전집(前集) #17》 [017]


📜 원문

處世讓一步為高,退步即進步的張本;
待人寬一分是福,利人實利己的根基。



📚 번역


세상살이에서는 한 걸음 양보하는 것이 더 높은 처세이며, 물러섬이야말로 앞으로 나아갈 기반이 된다.

사람을 대할 때 한 치의 너그러움은 복이 되고, 남을 이롭게 함은 곧 자신을 이롭게 하는 뿌리가 된다.



🔍 해설: 한 걸음 물러남과 한 치 너그러움이 주는 진짜 복

이 구절은 인생의 중요한 두 가지 덕목, 곧 양보(讓步)와 관용(寬容)이 결국에는 자기 자신에게 돌아오는 복이라는 깊은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첫째 줄, 「處世讓一步為高,退步即進步的張本」은 세상을 살아갈 때 한 걸음 양보하는 것이야말로 더 고결한 태도이며, 물러섬이야말로 오히려 나아갈 기반이 됨을 말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앞서고 이기려는 데 익숙하지만, 오히려 한 발 물러남으로써 다툼을 피하고,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으며, 상대에게 신뢰와 존중을 얻게 됩니다.

때로는 물러섬이 '기회를 남기는 지혜'가 되고, '되치기'처럼 나중에 더 큰 기회를 만들기도 하지요.

둘째 줄, 「待人寬一分是福,利人實利己的根基」는 사람을 대할 때 한 치 너그러움은 복이고, 남을 이롭게 하는 것이 곧 나를 이롭게 하는 뿌리가 됨을 강조합니다.

작은 너그러움 하나가 갈등을 막고, 인간관계를 부드럽게 만듭니다. 엄격한 잣대로 사람을 대하면 관계가 쉽게 깨어지지만, 약간의 여유와 관용은 오히려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끌어당깁니다.

또한 '남을 이롭게 함'은 당장은 보이지 않아도, 결국은 신뢰와 평판, 도움과 기회로 되돌아옵니다.

베푼 것은 반드시 기억되고, 인생의 어느 순간에 예상치 못한 복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이 구절은 당장의 이익보다 넓은 안목으로 삶을 바라보는 지혜를 말합니다. 양보와 관용은 겉으로는 손해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갈등을 줄이고 관계를 지키며, 더 멀리 나아갈 수 있는 깊은 혜안이 담겨 있는 것입니다.


물러섬은 나를 지키는 방패요,
너그러움은 복을 부르는 씨앗입니다.


✍️ 한자 풀이

  • 處 (살 처): 살다, 처하다, 처리하다.
  • 世 (세상 세): 세상, 시대.
  • 處世 (처세): 사람들과 사귀며 살아감. 또는 그런 일, 세상살이, 세상을 살아감.
  • 讓 (사양할 양): 사양하다, 양보하다, 물러나다.
  • 一 (한 일): 하나.
  • 步 (걸음 보): 걸음, 발걸음, 움직임.
  • 讓一步 (양일보): 한 걸음 양보하다.
  • 為 (할 위): ~이 되다, ~이다.
  • 高 (높을 고): 높다, 고상하다, 고결하다.
  • 退 (물러날 퇴): 물러나다, 뒤로 가다.
  • 退步 (퇴보): 물러나다, 물러섬. (여기서는 전략적인 후퇴의 의미)
  • 即 (곧 즉): 곧, 바로 ~이다.
  • 進 (나아갈 진): 나아가다.
  • 進步 (진보): 나아가다, 발전하다, 앞으로 나아감, 진보.
  • 的 (관형격 조사 적): ~의 (현대 중국어 '的'과 유사한 기능).
  • 張 (베풀 장): 베풀다, 펼치다; 활시위.
  • 本 (근본 본): 근본, 바탕, 기반.
  • 張本 (장본): 어떤 일이 크게 벌어지게 되는 근원(根源), 어떤 일을 꾀하여 일으킨 바로 그 사람, 근본, 바탕, 바탕을 폄, 근본을 세움, 나중에 일을 벌일 기반이나 근거. (여기서는 '기반' 또는 '준비'의 의미)
  • 待 (기다릴 대): 대하다, 대우하다.
  • 人 (사람 인): 사람.
  • 待人 (대인): 사람을 대하다.
  • 寬 (너그러울 관): 너그럽다, 관대하다.
  • 一 (한 일): 하나.
  • 分 (나눌 분): 나눌 분; 정도, 양.
  • 一分(일분): 한 치, 조금.
  • 寬一分 (관일분):  좀 너그럽게 하다, 조금 더 너그럽게.
  • 是 (옳을 시): ~이다.
  • 福 (복 복): 복, 행복.
  • 利 (이로울 이): 이롭다, 이롭게 하다.
  • 利人 (이인): 남을 이롭게 하다.
  • 實 (열매 실): 열매, 실제, 사실로. (여기서는 '실제로', '결국')
  • 利 (이로울 이): 이롭다, 이롭게 하다.
  • 利己 (이기): 자신을 이롭게 하다.
  • 根 (뿌리 근): 뿌리.
  • 基 (터 기): 터, 기초.
  • 根基 (근기): 근본, 기초,



⚖️ Copyright ⓒ 마녀의 서재 CurioCrateWitch. All rights reserved.

본 시리즈의 번역과 해설은 기존의 어떤 번역서나 해설서도 참고하지 않고,
원문에 대한 깊은 사색과 철저한 어휘 분석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다만 원문의 해석은 문맥과 시대어감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으며,
본 해설 또한 일정한 주관과 사유에 기반하고 있어 부분적인 오류나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제 및 인용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