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7/06 5

《Caigentan (採根談) #33》 - Original Collection [033] 放得功名富貴之心下,便可脫凡; 放得道德仁義之心下,纖可

《Caigentan (採根談) #33》 - Original Collection [033] 📜 Original Text放得功名富貴之心下,便可脫凡; 放得道德仁義之心下,纖可入聖。📚 English TranslationIf one can let go of the desire for achievement, fame, wealth, and status, one can transcend the ordinary.If one can also release attachment even to morality and righteousness, one may finally enter the realm of the sage.✍️ Hanja Breakdown放 (fàng) — to let go, to put down, to ab..

《채근담 (菜根譚) - 원문 전집 #33》 [033] 放得功名富貴之心下,便可脫凡; 放得道德仁義之心下,纖可入聖。

《채근담 (菜根譚) - 원문 전집 #33》 [033]📜 원문放得功名富貴之心下,便可脫凡; 放得道德仁義之心下,纖可入聖。📚 번역공명과 부귀를 향한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으면 곧 속세를 벗어날 수 있고,도덕과 인의를 향한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으면, 비로소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 한자 풀이放 (놓을 방): 놓다, 내려놓다, 버리다.得 (얻을 득): 얻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동사 뒤에 붙어 가능이나 결과를 나타냄).放得 (방득): 놓을 수 있다, 내려놓을 수 있다.功 (공 공): 공적, 업적.名 (이름 명): 명성, 명예.功名 (공명): 공적과 명성, 공적과 명예, 입신출세.富 (부유할 부): 부유함, 재물.貴 (귀할 귀): 귀함, 지위.富貴(부귀): 부와 귀함, 부와 지위, 재물과 지위, ..

🪷 On the Love of the Lotus: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a Gentleman’s Flower

📆 Revised and updated: July 8, 2025.🧙 IntroductionWhile working on my translation of 《Caigentan (採根談)》, another work, Ailanshuo (愛蓮說), suddenly came to mind.This is because the message conveyed in Ailanshuo deeply resonates with the spirit of Caigentan: it encourages us to live harmoniously within the world — not retreating into isolation — while preserving our integrity and good character.In ..

🪷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愛蓮說)> 번역과 해설 – 군자의 덕을 닮은 연꽃의 정신 (2025.07.08. 수정)

🧙 들어가며채근담을 번역하다가 문득 애련설이 떠올랐습니다.‘애련설’이 전해 주는 의미가, 세상을 떠나 은둔하지 말고 세상 속에 어울려 살아가되 좋은 품성을 지키며 살아가라는 채근담의 정신과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대학교 1학년 때, 애련설을 默写(외워서 쓰기) 시험 때문에 죽어라 외웠는데, 그 내용이 가슴에 남아 지금까지도 외우고 있습니다.가슴에 남은 만큼 그렇게 살아왔는지는 모르겠지만, 애련설이 좋고, 연꽃이 좋습니다.그래서 채근담 번역을 잠시 멈추고, 애련설을 다시 찾아 고심하여 번역해 보았습니다.여러분의 마음에도 잘 전달되기를 바랍니다. 🪷 애련설 (愛蓮說)📜 원문水陸草木之花,可愛者甚蕃,晉陶淵明獨愛菊。自李唐來,世人甚愛牡丹;予獨愛蓮之出淤泥而不染,濯清漣而不妖;中通外直,不蔓不枝,香遠益..

《Caigentan (菜根譚) - Original Text Former Collection #32》[032] 居卑而後知登高之為危,處晦而後知向明之

《Caigentan (菜根譚) - Original Text Former Collection #32》[032] 📜 Original Text居卑而後知登高之為危,處晦而後知向明之太露; 守靜而後知好動之過勞,養默而後知多言之為躁。📚 English Translation Only after dwelling in humble positions does one realize the peril of ascending to great heights.Only after residing in obscurity does one realize the excessive exposure of moving towards the light.Only after maintaining tranquility does one realize the..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