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세금

쿠팡 vs 스마트스토어, 어디서 팔면 수익이 더 남을까?

by CurioCrateWitch 2025. 4. 20.
반응형
SMALL

 


온라인 판매를 처음 시작할 때, “쿠팡이 좋을까?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더 남을까?” 고민하신 분들 많을 거예요. 두 플랫폼 모두 인기 있는 채널이지만, 수익률이나 정산 구조, 운영 편의성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있답니다. 오늘은 이 두 플랫폼의 장단점을 비교하면서, 특히 **‘정산 시점’과 ‘자금 회전’**에 대해서도 꼼꼼히 짚어볼게요.
---

쿠팡과 스마트스토어, 수익률 비교

쿠팡은 보통 11~14% 수준의 판매 수수료를 가져가며, 로켓그로스 입점 시 광고비와 함께 정산 방식까지 바뀝니다.

스마트스토어는 보통 6~13% 수준의 수수료로 쿠팡보다 낮은 편이며, 광고비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요.
또한 정산이 매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금 회전이 빠르다는 점도 큰 장점이에요.

예를 들어, 같은 조건(판매가 25,000원 / 매입가 10,000원 / 배송비 3,000원)에서 판매한다고 가정할 때,
광고비와 수수료를 감안하면 스마트스토어 쪽이 약간 더 높은 수익이 남는 경우가 많지만,
쿠팡은 회전율이 빠르고, 시스템 자동화 덕분에 운영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요.
어느 쪽이 더 유리할지는 결국 나의 상황과 스타일에 달려 있죠.


---

“쿠팡은 3개월 후에 정산된다”는 말, 정말일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부분적으로 맞는 이야기”예요.
쿠팡은 판매 방식에 따라 정산 구조가 다릅니다.

1. 마켓플레이스(직접배송) 방식은 비교적 정산이 빠릅니다. 고객이 구매확정을 하면, 그 후 영업일 기준 1~2일 이내에 정산이 이루어지죠. 스마트스토어와 비슷한 속도입니다.


2. 하지만 로켓그로스(쿠팡이 배송+CS 전담) 방식은 조금 다릅니다.
상품이 고객에게 도착하고, 구매확정이 이루어진 뒤에도 정산은 평균 2~3주 후에 이뤄집니다.
정산일은 매주 1회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배송 기준 약 3~4주 후에야 돈이 입금됩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특히 초반엔 “돈이 계속 묶인다”는 느낌이 들 수 있답니다.




---

자본금 1억 원이라면, 어떻게 나눠 투자할까?

예를 들어 자본금이 1억 원인 판매자가 쿠팡 로켓그로스를 시작한다면, 처음엔 물건을 먼저 보내고 쿠팡이 배송을 하므로 당장 정산받을 수 있는 매출이 없습니다.
그래서 초기에는 1개월마다 약 3,300만 원씩 분산 투자하듯 물류를 채워 넣어야 해요.

개별 주문의 정산은 평균 3~4주 후에 이뤄지지만, 전체 매출이 자금처럼 순환되기 시작하는 건 보통 4개월 차부터예요.
따라서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최소 3개월 치 자금을 선투자해야 하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금 여유가 부족하다면, 초반에는 스마트스토어나 직접배송 방식으로 시작한 뒤, 점차 로켓그로스로 확장하는 전략도 유효합니다.


---

정리하자면,

▪︎ 시간이 없고 자동화 시스템이 편한 분들에겐 쿠팡 로켓그로스가 유리

▪︎ 자금 회전이 중요하고 브랜딩에 집중하고 싶은 분들에겐 스마트스토어가 유리

▪︎ 자금 여유가 있다면 쿠팡의 자동화와 회전력, 노출 효과는 무시할 수 없음
---

참고 자료

▪︎ 쿠팡 셀러센터 공식 수수료 및 정산 안내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판매자센터 가이드

▪︎ 2024년 셀러 실제 운영 후기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