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고전과 지혜/채근담

📖 《채근담(菜根譚)》 원문 전집 (前集) #10 [010]

CurioCrateWitch 2025. 6. 15. 18:55
728x90
반응형

📖 채근담(菜根譚) – 전집 (前集) 010


📜 원문

恩裏由來生害, 故快意時, 須早回頭; 敗後或反成功, 故拂心處, 莫便放手。


📚 번


은혜로운 상황 속에서 도리어 해로움이 생기기 쉬우니, 일이 잘 풀리고 마음이 기쁠 때는 일찍 돌아설 줄 알아야 한다.
실패한 뒤에 오히려 성공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으니, 마음이 불편하다고 하여 섣불리 포기해서는 안 된다.




🪶 한자 풀이


• 恩(은혜 은): 은혜, 호의.
• 裏(속 리): 속, 안.
• 由(말미암을 유): 말미암아, ~로부터.
• 來(올 래): ~로부터(관용적으로 쓰임).
• 生(날 생): 생기다, 발생하다.
• 害(해할 해): 해. 손해. 해로움, 해를 끼치다.
• 恩裏由來生害(은리유래생해): 은혜로운 상황 속에서 도리어 해로움이 생겨나는 법.
• 故(옛 고): 그러므로
• 快(쾌할 쾌): 유쾌하다, 상쾌하다, 통쾌하다.
• 意(뜻 의): 뜻, 마음.
• 快意(쾌의): 기분이 좋은 상태, 뜻이 맞아 기쁨
• 時(때 시): 때.
快意時(쾌의시): 마음이 통쾌하고 뜻대로 될 때.
(모름지기 수): 모름지기, 틀림없이, 반드시, 마침내, 결국,  ~해야 한다.
• 早(이를 조): 일찍, 서둘러, 급히, 빨리.
• 回(돌아올 회): 돌아오다, 돌이키다.
• 頭(머리 두): 머리(여기서는 방향을 나타냄).
回頭(회두): 되돌아보다, 반성하다, 멈추다, 머리를 돌린다는 뜻으로, 뱃머리를 돌려 진로(進路)를 바꿈을 이르는 말.
• 敗(패할 패): 패배, 실패, 패하다, 실패하다.
• 後(뒤 후): 뒤, 이후, 다음.
•或(혹 혹): 혹시, 어떤 이, 어떤 것, 어떤 경우에는, 어쩌면
• 反(되돌릴 반): 반대로, 도리어, 되돌아오다
• 成(이룰 성): 이루다, 성공하다
• 功(공 공): 공로, 성공, 성취.
敗後或反成功(패후혹반성공): 실패한 뒤에 어떤 경우에는 도리어 성공할 수도 있다.
• 拂(떨칠 불): 떨쳐내다, 거스르다
• 心(마음 심): 마음
• 拂心(불심): 마음에 거슬림, 언짢음
• 處(처): 상황, 때, 자리, 경우
• 拂心處(불심처): 마음을 거스르는 경우, 뜻대로 되지 않는 상황.
(말 막): ~하지 마라(금지를 나타냄).
• 便(편할 편): 쉽사리, 곧,  바로.
• 放(놓을 방): 놓다, 내버려두다
• 手(손 수): 손
放手(방수): 손을 놓다, 포기하다.
莫便放手(막편방수): 쉽사리 손을 놓지 마라, 포기하지 마라.



🔍 해설


이 구절은 인생의 두 가지 역설적인 진실을 짧고 강렬하게 담고 있습니다.

첫째, 좋은 일이 오히려 나쁜 결과를 부를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은혜 속에서 해로움이 생긴다(恩裏生害)”는 말은, 다정함이나 혜택이 사람을 나태하게 만들거나, 기쁨과 만족이 지나쳐 교만과 방심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경계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뜻이 잘 풀리고 기분이 좋은 순간일수록, 한 발 물러서 자신을 돌아볼 줄 아는 '초기 제동'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快意時, 須早回頭(쾌의시 수조회두)”**의 의미입니다.

둘째, 실패와 좌절 속에서도 성공의 단서가 숨어 있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敗後或反成功(패후 혹반성공)”은, 일이 마음에 들지 않고 뜻대로 되지 않더라도, 그 안에 도리어 반전의 계기가 있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拂心處, 莫便放手(불심처 막편방수)”, 즉 마음이 불편하다고 하여 섣불리 포기하지 말라는 조언으로 이어집니다.

이처럼, 잘 풀릴 때 멈추고, 안 풀릴 때 멈추지 말라는 인생의 균형 감각을 일깨워주는 문장입니다.


📌 한 줄 요약

좋을 때일수록 돌아보라 — 지나친 만족은 해를 부를 수 있음.
불편할 때일수록 놓지 마라 — 실패 속에도 성공의 씨앗이 있음.




⚖️ Copyright ⓒ 마녀의 서재 CurioCrateWitch. All rights reserved.

본 시리즈의 번역과 해설은 기존의 어떤 번역서나 해설서도 참고하지 않고,
원문에 대한 깊은 사색과 철저한 어휘 분석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다만 원문의 해석은 문맥과 시대어감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으며,
본 해설 또한 일정한 주관과 사유에 기반하고 있어 부분적인 오류나 해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제 및 인용은 정중히 사양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