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7 121

《Caigentan (菜根談) Former Collection #56》Beyond Wealth and Competence

[56칙] Beyond Wealth and Competence: True Contentment and the Wisdom of Balance📜 Original Text奢者富而不足,何如儉者貧而有餘;能者勞而府怨,何如拙者逸而全真。📚 TranslationThose who indulge in luxury are wealthy yet unsatisfied. How can they compare to the frugal, who may be poor but live with abundance?The competent toil endlessly and attract resentment. How can they compare to the inept, who live at ease and preserve their t..

《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 #56》 부유함과 유능함 너머, 진정한 만족과 균형의 지혜 [2025.07.20. 수정]

[056칙] 부유함과 유능함 너머, 진정한 만족과 균형의 지혜📜 원문奢者富而不足,何如儉者貧而有餘;能者勞而府怨,何如拙者逸而全真。📚 번역사치하는 자는 부유하지만 만족하지 못한다. 어찌 검소한 자가 가난하면서도 여유로운 것만 하겠는가?유능한 사람은 애써 일하면서도 원망을 산다. 어찌 서툰 사람이 한가롭게 지내면서도 참된 본성을 지키는 것만 하겠는가?✍️ 한자 풀이奢 (사치할 사): 사치하다, 지나치다.者 (놈 자): ~하는 사람.奢者 (사자): 사치하는 사람, 사치스러운 사람.富 (부유할 부): 부유하다, 재물이 많다.而 (말이을 이):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하면서도, ~하지만.不 (아닐 불): ~않다.足 (족할 족): 족하다, 만족하다.不足 (부족): 만족하지 못하다, 부족함을 느끼다.何 (어찌 ..

《Caigentan(採根談) – Volume 1, #55》 Learning Becomes Weapons in Impure Hands

[055] For Those with an Impure Mind, Learning Becomes Weapons and Provisions for a Thief📜 Original Text心地清淨,方可讀書學古。不然,見一善行,竊以濟私;聞一善言,假以覆短,是又藉寇兵而齎盜糧矣。📚 English Translation When one’s mind is clear and pure, only then is one truly fit to read books and learn the teachings of the ancients.Otherwise, when witnessing a good deed, one might secretly exploit it for selfish gain;and when hearing a goo..

《채근담(菜根譚) 전집(前集) #55》 마음이 맑지 않은 이에게 학문의 기회는 도적에게 무기와 식량을 주는 것

[055] 마음이 맑지 않은 이에게 학문의 기회는 도적에게 무기와 식량을 주는 것📜 원문心地清淨,方可讀書學古。不然,見一善行,竊以濟私;聞一善言,假以覆短,是又藉寇兵而齎盜糧矣。📚 번역마음이 청정해야 책을 읽고 옛것을 배울 자격이 있다.그렇지 않으면 선행을 보며 사리사욕을 도모하고,좋은 말을 듣고 자신의 결점을 가리는 데 써버린다.이것은 도적에게 무기를 빌려주고 식량을 대주는 일과 같다.✍️ 한자 풀이心 (마음 심): 마음.地 (땅 지): 땅, 바탕, 자리.心地 (심지): 마음 바탕, 마음씨, 마음의 본바탕, 심성(心性).清 (맑을 청): 맑다, 깨끗하다.淨 (깨끗할 정): 깨끗하다, 맑다.清淨 (청정): 맑고 깨끗하다, 순수하다, 번뇌가 없는 상태.方 (모 방): 비로소, 이제야, 바야흐로, 장차(將次),..

《Caigentan (菜根譚) – Former Collection #54》 Reflecting on Oneself to Embrace Other

《Caigentan (菜根譚) – Former Collection #54》 Reflecting on Oneself to Embrace Others📜 Original Text人之際遇, 有齊有不齊, 而能使己獨齊乎?己之情理, 有順有不順, 而能使人皆順乎?以此相觀對治, 亦是一方便法門。📚 TranslationPeople’s circumstances are sometimes even and smooth, and sometimes uneven and turbulent. How can one expect only oneself to always enjoy smooth sailing?One’s own emotions and reasoning are sometimes in harmony with principle, an..

[한문 입문자 분들에게] 한문 공부,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 주석 문화와 함께 읽는 고전의 길

[한문 입문자 분들에게] 한문 공부,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 주석 문화와 함께 읽는 고전의 길한문 고전 번역서를 읽다 보면 누구나 문장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고, 몇 번을 읽어도 무슨 뜻인지 감이 잘 오지 않곤 합니다.왜 한문은 이렇게 읽기 힘들고, 번역마저 어렵게 쓰였을까요?여기에는 한문이라는 언어가 지닌 속성과, 이를 대하는 번역자의 고민과 독자의 고충이 함께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주석 문화’의 중요성이 드러납니다.1. 아직 분화되지 않았던 언어의 특성한문이 만들어지고 기록문자로 사용되던 시대에는 지금처럼 단어가 섬세하게 분화되지 않았던 시대입니다.하나의 글자가 여러 뜻을 동시에 품고 있었고, 문맥에 따라 그중 하나를 짚어내야 했습니다.예를 들어 行 하나만 해도 ‘가다’, ‘..

[중국의 야욕 #5] 역사 왜곡과 기술 패권, 중국의 이중 전략 — 과거를 조작하고 미래를 선점하려는 야심

[중국의 야욕 #5] 역사 왜곡과 기술 패권, 중국의 이중 전략 — 과거를 조작하고 미래를 선점하려는 야심중국은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겨냥하는 이중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역사 왜곡을 통해 자국의 지정학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첨단 기술 패권을 확보하여 실질적인 경제적, 군사적 힘을 축적하려는 야심 찬 계획입니다. 이 글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기술 패권 전략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위험성을 명확히 인식하며, 우리 한국이 취해야 할 현명한 대응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동북공정: 과거를 조작하는 역사 왜곡동북공정은 단순히 역사 연구를 넘어선 중국의 전략적 도구입니다. 이는 고구려와 발해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고, 나아가 한반도 역사의 독자성을 훼손..

세상 읽기 2025.07.15

[중국의 야욕 #4] 천재 없는 나라의 비애: 한국 유학생들의 현실 – 유학생 활용과 기초학문, 미래를 위한 국가의 선택 [250705 수정]

[중국의 야욕 #4] 천재 없는 나라의 비애: 한국 유학생들의 현실 – 유학생 활용과 기초학문, 미래를 위한 국가의 선택한국은 해마다 유학생 개개인이 연간 1억~2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며 해외로 유학 가지만, 정작 이들을 인재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비애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국가의 미래에도 커다란 손실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갈고닦은 귀한 역량들이 사장되는 현상은 결국 ‘천재 없는 나라’로 귀결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안겨줍니다.🎓 유학생의 꿈과 현실: 왜 비애로 끝나는가?한국은 매년 수만 명의 유학생을 해외로 보냅니다. 교육부 2024년 통계에 따르면, 해외 유학생 수는 약 19만 명으로, 이 중 55%가 미국과 캐나다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개인적으로 연..

세상 읽기 2025.07.15

[중국의 야욕 #3] 한국은 의사, 중국은 과학자! - 대접받는 직업과 사회 시스템

[중국의 야욕 #3] 한국은 의사, 중국은 과학자! - 대접받는 직업과 사회 시스템왜 한국은 의사를, 중국은 과학자를 더 존중할까요?그리고 이 선택은 국가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요?📚 “의사가 꿈인 나라”가 된 한국, 왜?한국에서 ‘의사’는 여전히 최고의 직업입니다.2024년 교육개발원 조사에 따르면, 초·중·고생 희망 직업 1위가 ‘의사’(35%)였고, 그 이유로는 ‘돈을 많이 벌어서’(42%)가 가장 많이 꼽혔습니다. 과거에는 ‘사람을 돕고 싶어서’라는 대답이 많았지만, 지금은 경제적 보상이 더 강조됩니다.의대 정원은 매년 3,058명으로 50년 가까이 거의 동결된 반면, 고령화로 의료 수요는 연평균 3%씩 증가 중입니다. 그 결과 의대 경쟁률은 평균 50:1을 넘고, 2025년 보건복지부 ..

세상 읽기 2025.07.15

[중국의 야욕 #2] 평준화 교육 vs. 천재 교육, 두 나라의 인재 양성 전략 - 한국의 사교육과 중국의 국가 지원이 국가경쟁력에 미친 차이

[중국의 야욕 #2] 평준화 교육 vs. 천재 교육, 두 나라의 인재 양성 전략 - 한국의 사교육과 중국의 국가 지원이 국가경쟁력에 미친 차이사교육에 허덕이는 한국 vs 국가가 키우는 중국의 천재 교육. 이 차이는 국가경쟁력을 어떻게 바꿨을까?📚 사교육에 의존한 한국, 국가가 책임진 중국한국은 평준화교육 이후 ‘평등’을 지켰지만, 그 이면에는 숨은 비용이 있습니다. 1974년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으로 공교육은 평균 수준에 머물렀고, 상위권 학생들은 더 높은 수준의 교육을 사교육에서 찾아야 했습니다.2025년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사교육 시장 규모는 연간 20조 원에 달하며, 이는 GDP의 약 1.2%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금액입니다.서울 강남 학원가를 중심으로 한 사교육은 아이들을 밤늦게까지 붙잡아..

세상 읽기 2025.07.1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