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의 울릉도 이주 정책, 과연 ‘조선판 신도시 개발’이라 할 수 있을까요?어제 올린 글에서 저는 썸네일에 ‘숙종의 울릉도 신도시 정책’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요.강렬한 이미지로 기억에 남기고자 한 표현이었지만, 자칫 오해를 불러올 수 있어 오늘은 ‘정조의 수원 화성 정책’과 비교해 보며 신도시라는 개념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그렇다면, 숙종의 울릉도 이주 정책안은 정말 정조의 ‘신도시 개발 1호 타이틀’을 넘볼 수 있었을까요?1. 신도시 개발, 그 현대적 의미‘신도시’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아마도 서울의 강남, 판교처럼 주거·상업·교육·문화 기능이 통합된 대규모 계획 도시를 떠올리실 거예요.이처럼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합니다.1) 계획적 건설: 주거, 상업, 산..